금융위기 6

금융위기 이론의 목축 모델 및 학습 모델

금융위기 이론의 다양한 이론 중에서 목축 모델 및 학습 모델에 대하여 알아보자. 금융위기 이론 목축(Herding) 모델과 학습(Learning) 모델 투자자들이 서로 배우는 가운데 자산가치가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모델에서는 소수의 중개인에 의한 자산 구입이 다른 중개인에게도 구입을 촉진하게 되는 영향을 주었다. 이는 많은 중개인이 구매하였을 때 자산의 진정한 가치가 증가하기 때문이 아니라 투자자들이 다른 중개인에게 구매하였을 때 진정한 자산 가치가 높다고 믿게 되기 때문이다. Herding(무리, 목축) 이론 무리를 짓는 목축 이론에서는 투자자는 완전히 합리적이지만 경제에 대한 부분적인 정보만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면 된다. 이러한 모델에서는 소수의 투자자가 어떤..

한국경제 2024.03.31

금융위기 이론, 민스키 이론에 대하여

금융위기에 대한 이해와 예측에서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크(Hyman Minsky)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의 이론은 금융시장에서 불안정성과 위험을 강조하고 있는데, 금융위기가 어떻게 발생하고 확대되었는지에 대한 통찰적인 그의 이론에 대하여 알아보자. 금유위기 이론 민스키의 이론 하이먼 민스크(Hyman MInsky)는 폐쇄적인 경제에 가장 해당하는 포스트 케인스주의적인 설명을 제안하였다. 그는 금융의 취약성은 어떤 자본주의 경제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이론화하였다. 높은 취약성은 금융 위기의 위험을 높인다. 그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민키스는 금융회사가 위험의 허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세 가지 접근법을 정의하고 있다. 그것들은 헤지 금융, 투기 금융, 폰지 금융이다. 폰지 금융의 경우 가..

한국경제 2024.03.29

금융위기의 원인과 결과, 금리 격차와 자본 흐름

이번 글에서는 금융위기를 발생시키는 금리격차와 자본의 흐름, 그리고 경기 침체 및 금융위기에 대하여 정리해 보자. 금융위기의 원인과 결과 금리 격차와 자본 흐름 19세기 은행학파의 위기설은 서로 다른 금리를 가진 지역 간 투자 자본의 흐름이 위기의 원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자본금은 저금리 지역에서 빌려서 고금리 지역에 투자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자본금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상태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금리가 바뀌면서 자금 흐름에 대한 인센티브가 제거되거나 자본 흐름의 급격한 변화가 역전되는 경우가 있다. 투자 대상자는 현금이 부족해 부실화되고 신용경색을 일으킬 수 있으며 대출은행은 은행 위기로 이어지는 디폴트 투자자에게 남겨진다. 찰스 리드(Charles Read)가 지적하고 있듯..

한국경제 2024.03.27

금융위기의 원인과 결과, 규제 실패와 금리 차이

금융위기를 일으키는 다양한 요인에는 금융시장의 전락적 보완성, 레버리지, 자산-부채의 불일치, 불확실성과 집단행동, 규제 실패, 전염, 금리 격차와 자본의 흐름, 경기 침체등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규제실패, 전염에 대해 알아보자. 금융위기의 원인과 결과 규제실패 규제에는 금융 규제와 은행 규제가 있다. 각 정부는 금융 섹터의 규제를 통하여 금융 위기를 해소 또는 완화하려고 한다. 규제의 가장 큰 목표 중 하나는 투명성이다. 표준화된 회계처리 하에서 정기적인 보고를 요구함으로써 기관이 재무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다. 규제의 또 다른 목표는 준비금 요건, 자본 요건, 기타 레버리지 제한을 통해 계약상 의무를 충족시키기 충분한 자산을 기관에서 확보하는 것이다. 일부 금융 위기는 규제 부족의 탓으로 원인..

한국경제 2024.03.26

금융위기의 원인과 결과, 자산과 부채의 불일치

금융위기에는 금융시장의 전략적 보완성, 레버리지, 자산-부채의 불일치, 불확실성과 집단행동, 규제 실패, 전염, 금리 격차와 자본 흐름, 경기 침체 등의 다양한 원인과 결과가 존재한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부채의 불일치, 불확실성과 집단행동에 대하여 알아보자. 금융위기의 원인과 결과 자산, 그리고 부채의 불일치 금융위기의 한 요인으로 꼽히는 요인중 하나는 자산부채의 미스매치를 꼽을 수 있다. 기관의 부채와 자산에 관련된 리스크가 적절하게 조정되지 않은 상황일 경우 금융위기는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중은행은 언제든지 자금을 인출할 수 있는 예금계좌를 제공해 수익금을 기업과 주택 소유자에게 장기 대출을 해준다. 은행은 단기 부채(예금)와 장기부채(대출)의 불일치(은행이 대출 수익을 되찾을 수 있는 시..

한국경제 2024.03.25

금융 위기(Financial crisis)의 유형

금융 위기 금융 위기는 일부 금융자산이 갑자기 그 명복 가치의 대부분을 잃는 폭넓은 상황 중 하나이다.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많은 금융 위기가 은행 공황과 함께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경기 불황(경기 침체)이 함께 발생하였다. 금융위기라고 불리는 다른 상황으로는 주식시장이 폭락이나 기타 금융 거품의 붕괴, 외환위기, 국가 채무 불이행 등이 있다. 금융위기는 직접적으로 종이 자산의 손실을 만들어내지만, 반드시 실물 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그 예로 17세기 네덜란드의 듈립 마니아 버블 위기가 유명하다. 많은 경제학자들이 금융위기가 어떻게 발전하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을 제시해 왔다. 하지만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아 금융위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금융 위기의 종류 은..

한국경제 202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