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4

금융위기 이론의 목축 모델 및 학습 모델

금융위기 이론의 다양한 이론 중에서 목축 모델 및 학습 모델에 대하여 알아보자. 금융위기 이론 목축(Herding) 모델과 학습(Learning) 모델 투자자들이 서로 배우는 가운데 자산가치가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모델에서는 소수의 중개인에 의한 자산 구입이 다른 중개인에게도 구입을 촉진하게 되는 영향을 주었다. 이는 많은 중개인이 구매하였을 때 자산의 진정한 가치가 증가하기 때문이 아니라 투자자들이 다른 중개인에게 구매하였을 때 진정한 자산 가치가 높다고 믿게 되기 때문이다. Herding(무리, 목축) 이론 무리를 짓는 목축 이론에서는 투자자는 완전히 합리적이지만 경제에 대한 부분적인 정보만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면 된다. 이러한 모델에서는 소수의 투자자가 어떤..

한국경제 2024.03.31

금융위기의 다양한 이론

금융위기는 다양한 금융 시스템의 기능이나 안정성에 심한 위협을 가하는 현상으로 과거의 몇 차례에 걸쳐 세계적으로 ㅂ라생한 사건들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번 글에서는 금융 위기의 몇 가지 이론에 대하여 알아보자. 금융위기 이론 오스트리아 이론 오스트리아의 학파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Ludwing Von Mises)와 프리드리히 하이에(Friedrich Hayek)는 1912년 출판된 미제스(Mises)의 화폐와 신용의 이론(Theory of Money and Credit)에서 시작되는 비즈니스 사이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금융위기에 대한 오스트리아 학파의 주장은 아래와 같다 신용확장의 과도 금융위기의 주된 요인을 '신용확장의 과도'에 있다고 지적하며 신용확장은 금융..

한국경제 2024.03.28

[경제공부]뱅크런(Bank run) 이론

뱅크런이란? 뱅크론이란 많은 고객이 근 시일에 은행이 지급 불능 상태 또는 파산할 수 있다고 믿으며 은행에서 다수의 예금자들이 예금 계좌에서 동시에 현금을 인출한다. 그로 인하여 은행은 현금이 고갈되고 갑작스러운 파산에 직면할 정도로 불안정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뱅크런 이론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사용되는 은행의 종류인 분할 준비은행(Fractional-reserve banking) 하에서 은행은 요구불 예금의 극히 일부분을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는 증권과 대출에 투자되며, 보통 그 기간은 요구불예금보다 길어 자산부채의 불일치가 발생한다. 예금이 한 번에 인출되기에 충분한 준비금을 가지고 있는 은행은 없다. 다이아몬드(Dianond)와 다이비그(Dybving)는 뱅크런이 발생하는 이유와 은행이..

한국경제 2024.03.18

자본(경제적)의 해석

자본은 금융자본과 경제 자본으로 나뉘어 이야기할 수 있는데 경제 자본의 분류에 대한 해석을 알아보자. 자본(경제적)의 해석 고전 경제학에서 아담 스미스 (Adam Smith, Wealth of Nations, Book 국가의 부, 제2권 제1장)는 고정 자본과 순환 자본을 구별했다. 제품(예를 들어 기계나 저장 시설)의 생산에서 소비되지 않는 이전의 지정 물리적 자산과 생산과정에서 소비되는 물리적 자산(예를 들면 원재료나 중간 제품)을 가리킨다. 기업 입장에서는 둘 다 자본의 종류이다. 경제학자 헨리 조지(Henry George)는 주식, 채권, 주택담보대출, 약속어음 등의 금융상품이나 부를 양도하기 위한 기타 증명서는 실제로는 자본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그들의 경제적 가치는 한 계급이 다른 ..

한국경제 2024.03.06